Taes-k DevLog
  • 몰라도 되는 스프링
  • Refactoring (2판)
  • Review
  • 요령과 기본(Spring)

Spring5 리액티브 (Web flux)

1.5 Spring5 Reactive 이번챕터에서 다룰 Spring Reactive는 제가 실무에서는 다루어보지 못한 기술입니다. 하지만 Spring5가 나오면서 가장 열정적으로 소개하고있는 기술이기에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Spring에서는 “Reactive”라는 단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The term, “reactive,” refers to programming...

21 May 2019

Spring Aspect (AOP)

1.3 Spring Aspect (AOP) 이전 챕터에서 알아본 Spring의 IoC/DI와 더불어 Spring의 핵심 3요소중 하나인 AO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Aspect Oriented Programing 직역하면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면 사실 어떤 프로그래밍 방식을 뜻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Spring에서 말하는...

15 May 2019

Spring MVC의 진짜 의미

1.4 Spring MVC의 진짜 의미 Spring Web MVC는 Spring 프레임워크가 처음 나왔을때부터 함께나온 웹 프레임워크로 spring-webmvc 소스 모듈의 이름을 따온 모델 입니다. 실제 MVC 모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어떤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request 를 처리하는지...

15 May 2019

Spring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1.2 Spring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앞서서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유에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과연 스프링은 어떻게 동작하길래 그러한 특징들을 가지는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List 1.2.1) IoC Container IoC와 DI DI의 장점 DI를 하기위한 준비 1.2.2) Bean Bean 사용법 Bean...

11 May 2019

Spring을 사용하는 이유

1. 당신은 왜 Spring을 사용 하는가? 이글을 읽고 계신 독자들의 대부분은 스프링을 이미 사용하고 계신 분들일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나는 왜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었는가?’ 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은 ‘스타트업 창업을...

10 May 2019

서문

2016년 대학졸업전에 스타트업 창업을 하게된 저는, 웹서비스를 만들어했으나 자바밖에 할줄 몰랐던 저는 당연하게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접해보는 기술이었지만 저에게 우선시 되는것은 동작원리나 구조가 아닌 ‘어떻게든 서비스를 만들어내는것’ 하나 였습니다. 어떻게든 서비스를 만들어...

10 May 2019

Spring Bean

Spring Bean ‘Bean (빈)’이란 Spring 공식문서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있다. In Spring, the objects that form the backbone of your application and that are managed by the Spring IoC container are called beans. A bean is...

09 May 2019

JAVA 예외처리

Exception 코드를 작성시 불가피하게 더이상 코드를 실행시킬수 없을때가 있다. 이때, JVM에서는 문제가 있음을 알려야하는데 그 방법으로 Exception을 발생시킨다. 자바에서는 2가지 종류의 Exception이 존재한다. NullpointerException이나, IllegalArgumentException 등 RuntimeException을 상속하는 <Unchecked exception>과 RuntimeException을 상속하지않는 나머지 <Checked exception>으로...

02 May 2019

Spring JUnit 테스트

구동환경 Spring boot 2.1.3 JUnit 자바 단위테스트를 위한 프레임워크로써 따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번거롭게 디버깅 하지 않아도 되며 실제 개발소스를 통해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 환경에서 JUni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Spring boot를 생성하게되면...

01 May 2019

Spring Singleton

구동환경 Spring boot 2.1.3 싱글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때 최초에 1회만 메모리를 할당하여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단 하나의 객체만 만들어서 사용하는 객체) 싱글톤을 사용하는이유? 메모리 낭비 방지 공통된 객체의 재생성 방지 (하나만 사용되어야 하는 객체) 싱글톤 예제...

26 Apr 2019

Spring DB 커넥션

구동환경 Spring boot 2.1.3 Spring DB Connection Spring을 사용해서 Database와의 커넥션을위한 Session DAO 커넥션을위한 설정을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DB 커넥션을 위해 Session factory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위해 java Configuration 파일 DataSourceConfig.java를 생성해주도록 하자. // DataSourceConfig.java @Configuration...

26 Apr 2019

객체지향 SOLID

객체지향 설계 원칙 : SOLID 좋은 객체지향의 설계를 위해서는 다음 5가지의 원칙을 따르는것이 좋다. 이는 로버트 마틴이 정리한 원칙으로, 왜 이러한 원칙들이 세워졌는가에 대한 의미를 알아두도록 하자. SRP(The Single Responsibility Priniciple) [단일 책임 원칙] 모든클래스는...

26 Apr 2019

React+Redux

React 프로젝트에 Redux 적용하기 기존 리액트 보일러 플레이트에 뉴스를 나열해주는 페이지 구현으로 리덕스를 추가 적용하는 예제를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 프로젝트에 redux 설치 ** npm install --save redux react-redux ** 뉴스 액션,리듀서 생성 ** /src/store/module/News.js //Type...

23 Apr 2019

Redux

Redux 리액트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이다. 컴포넌트들의 state로직을 별도의 파일로 분리시켜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준다. Redux가 필요한 이유 ** local state의 전달 ** 이전 포스팅에서 React의 특징으로, 부모 자식 모듈 간의...

22 Apr 2019

React+Webpack+Babel(3)

실행환경 MacOS Mojave 10.14.3 Node 10.15.3 Webpack 4.30.0 Babel 7.4.3 React 16.8.6 React 이전 포스팅에서 진행했던 웹팩, 바벨에 이어 리액트를 적용시켜보도록 하겠다. 리액트에대한 설명은 React 시작하기 에서 확인 하길 바란다. React 사용 설정 ** 프로젝트에...

22 Apr 2019
Previous
Next
cobura12@gmail.com